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2026 최저임금 확정!

시혀님 2025. 7. 14. 16:18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“하루 8시간 일해서 겨우 200만 원도 못 버는 현실…”
    2026년 최저임금이 오르긴 했지만, 월급으로는 약 215만 원. 월세, 식비, 교통비를 빼고 나면 손에 쥘 돈이 없는 건 여전합니다.
    17년 만의 노사 합의라는 말은 반갑지만, 당장 생활이 나아지진 않죠. 이번 결정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, 제대로 알아봅시다.

    마지막엔 월급 계산 가능한 링크를 첨부해두었으니 직접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
    ✨  2026년 최저임금, 얼마?

   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이 10,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.
    이는 2025년 시급 10,030원보다 290원 인상, **인상률 2.9%**를 기록했어요.

    📌 월급 환산 시(주 40시간, 월 209시간 기준)
    2,156,880원


    🧮  인상률 흐름은?

    최근 3년간 최저임금 인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연도 최저임금 인상률
    2024 9,860원 2.5%
    2025 10,030원 1.7%
    2026 10,320원 2.9%
     

    💬 즉, 소폭 상승 기조가 3년째 이어지고 있는 셈입니다. 


    ⚖️ 어떻게 결정됐을까?

    이번 최저임금은 노사 및 공익위원들이 참여한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결정됐습니다.

    • 총 27명 위원 중 17명이 찬성
    • 민주노총 등 노동계 위원은 회의 도중 퇴장
    • 그러나 사용자 측(경영계)과 공익위원들의 전원 합의로 통과

    🗣️ 이렇게 노사 전원이 찬성한 것은 무려 17년 만입니다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❗  왜 반발이 나올까?

    노동계(민주노총):

    "물가 상승률에 못 미치는 최저임금, 실질임금은 오히려 하락 중"
    "위원회 구조 개편과 총파업 준비 중"
    -> 7월 말 총파업 예고

    경영계(중소기업·소상공인):

    "지속 가능한 인상 폭이라 다행"
    "고용 유지와 경영 안정에 도움"

    정부·공익위원:

    "물가와 고용 상황 균형 고려한 결정"
    "사회적 갈등 완화를 위한 현실적 합의"


    🔍  참고: 최저임금 결정 기준

    최저임금은 다음 3가지 기준을 종합 고려해 산정됩니다.

    • 생계비 (물가 상승률 등 포함)
    • 노동 생산성
    • 소득분배율경제·고용 상황

    ✅  마무리 요약


    적용 시기 2026년 1월 1일부터
    시급 10,320원
    월급 환산 2,156,880원
    인상률 2.9%
    노사합의 17년 만의 표결 합의
    쟁점 노동계 반발·총파업 예고
     

    📝 한 줄 정리

    “인상률은 낮지만, 17년 만의 노사 합의라는 의미 있는 진전. 갈등은 여전.”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