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지역별 청년지원정책 정리

시혀님 2025. 7. 7. 19:14
반응형

 

전국 청년들을 위해 시행중인 청년지원정책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
지역별로 비교해 두었으니 놓치지말고 꼭 혜택받으세요!

 

1️⃣ 경기도 – 청년기본소득

  • 대상: 만 24세 경기도 거주(최근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) 청년 
  • 지원금: 분기별 25만 원, 연 최대 100만 원 지역화폐
  • 신청 방식: 분기별 온라인 직접 신청(잡아바 플랫폼) 
  • 특징: 연령·거주 조건만 충족하면 자동 신청 가능 → 소득·취업 여부 무관 

 


2️⃣ 서울 – 청년수당

  • 대상: 만 19~34세 서울 거주 청년 중 미취업자 또는 단기근로자,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 
  • 지원금: 월 5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300만 원)
  • 신청 방식: 온라인(청년몽땅포털) 분기별 → 상·하반기 공고 후 신청 
  • 특징: 소득·취업 여부 기준 있음, 구직 활동계획서 제출 필수

 

 

 

 


3️⃣ 부산 – 청년디딤돌카드

  • 대상: 만 18~34세 부산 거주 미취업·취업 준비 청년,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 
  • 지원금: 월 3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180만 원)
  • 신청 방식: 부산청년포털 온라인 신청, 분기별 또는 연 1~2회 접수 
  • 특징: 포인트형(디딤돌카드)으로 교육·자격증·교통비 등 사용

 


4️⃣ 인천 – 드림체크카드

  • 대상: 만 18~39세 인천 거주 미취업 청년, 중위소득 기준 구간 적용 
  • 지원금: 월 약 5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300만 원)
  • 신청 방식: 온라인 인천청년포털 신청 
  • 특징: 취업 준비 지원 중심, 소득조건(50~150% 중위소득) 있음

 


📊 종합 비교표

 

지자체 연령&거주조건 소득.취업조건 지원금 유형 지원금 액수 신청 방식
경기도 만 24세
3년 거주
없음 분기별 지역화폐 25만 × 4분기 = 100만 원/년 분기별 온라인 신청
서울시 만 19~34세
6개월 거주
미취업 + 중위 150% 이하 현금 체크카드 50만 × 6개월 = 300만 원 반기별 온라인
부산시 만 18~34세
시 등록
미취업 + 중위 150% 이하 포인트 카드 30만 × 6개월 = 180만 원 연 1~2회 온라인
인천시 만 18~39세 미취업 + 중위 50~150% 드림체크카드 약 50만 × 6개월 = 300만 원 분기별 또는
반기 온라인
 

✅ 핵심 요약

  • 경기도: 연령·거주 조건만 충족하면 취업 여부와 상관없이 최대 100만 원 자동지급
  • 서울·부산·인천: 구직 활동 기반의 미취업 청년 중심 지원, 소득 기준 있음
  • 지원 방식도 현금, 포인트, 지역화폐 등 지자체별로 차이가 큽니다

💡 다음 단계

  • 본인 주민등록 지역에 따라 해당 지자체 정책을 확인하며, 조건에 맞게 신청하는 걸 추천드려요.
  • 서울·부산·인천 거주 중이실 경우, 지방자치단체 공식 웹사이트나 청년포털에서 신청

 

이외에도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금 정보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!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