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전국 청년들을 위해 시행중인 청년지원정책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각 지역별로 비교해 두었으니 놓치지말고 꼭 혜택받으세요!
1️⃣ 경기도 – 청년기본소득
- 대상: 만 24세 경기도 거주(최근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) 청년
- 지원금: 분기별 25만 원, 연 최대 100만 원 지역화폐
- 신청 방식: 분기별 온라인 직접 신청(잡아바 플랫폼)
- 특징: 연령·거주 조건만 충족하면 자동 신청 가능 → 소득·취업 여부 무관
2️⃣ 서울 – 청년수당
- 대상: 만 19~34세 서울 거주 청년 중 미취업자 또는 단기근로자,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
- 지원금: 월 5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300만 원)
- 신청 방식: 온라인(청년몽땅포털) 분기별 → 상·하반기 공고 후 신청
- 특징: 소득·취업 여부 기준 있음, 구직 활동계획서 제출 필수
3️⃣ 부산 – 청년디딤돌카드
- 대상: 만 18~34세 부산 거주 미취업·취업 준비 청년,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
- 지원금: 월 3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180만 원)
- 신청 방식: 부산청년포털 온라인 신청, 분기별 또는 연 1~2회 접수
- 특징: 포인트형(디딤돌카드)으로 교육·자격증·교통비 등 사용
4️⃣ 인천 – 드림체크카드
- 대상: 만 18~39세 인천 거주 미취업 청년, 중위소득 기준 구간 적용
- 지원금: 월 약 5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300만 원)
- 신청 방식: 온라인 인천청년포털 신청
- 특징: 취업 준비 지원 중심, 소득조건(50~150% 중위소득) 있음
📊 종합 비교표
지자체 | 연령&거주조건 | 소득.취업조건 | 지원금 유형 | 지원금 액수 | 신청 방식 |
경기도 | 만 24세 3년 거주 |
없음 | 분기별 지역화폐 | 25만 × 4분기 = 100만 원/년 | 분기별 온라인 신청 |
서울시 | 만 19~34세 6개월 거주 |
미취업 + 중위 150% 이하 | 현금 체크카드 | 50만 × 6개월 = 300만 원 | 반기별 온라인 |
부산시 | 만 18~34세 시 등록 |
미취업 + 중위 150% 이하 | 포인트 카드 | 30만 × 6개월 = 180만 원 | 연 1~2회 온라인 |
인천시 | 만 18~39세 | 미취업 + 중위 50~150% | 드림체크카드 | 약 50만 × 6개월 = 300만 원 | 분기별 또는 반기 온라인 |
✅ 핵심 요약
- 경기도: 연령·거주 조건만 충족하면 취업 여부와 상관없이 최대 100만 원 자동지급
- 서울·부산·인천: 구직 활동 기반의 미취업 청년 중심 지원, 소득 기준 있음
- 지원 방식도 현금, 포인트, 지역화폐 등 지자체별로 차이가 큽니다
💡 다음 단계
- 본인 주민등록 지역에 따라 해당 지자체 정책을 확인하며, 조건에 맞게 신청하는 걸 추천드려요.
- 서울·부산·인천 거주 중이실 경우, 지방자치단체 공식 웹사이트나 청년포털에서 신청
이외에도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금 정보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!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