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7월부터 시작된 청년도약계약 신청! 청년을 위한 정책인 만큼 파격적인 혜택이 많아 놓치면 손해입니다.

    소득기준이 널널해서 웬만하면 다 해당되고 11일까지 신청기간이니 가입대상, 기간, 혜택, 조건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기간내에 꼭 신청하세요!

     

     

    🎯 개요

    • 목적: 만 19세~34세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적립형 계좌제도 
    • 저축 + 정부 기여금 + 비과세 혜택 제공 

    ✅ 가입 조건

    1. 연령: 만 19세 이상 ~ 34세 이하 (병역 기간은 최대 6년 연장)
    2. 소득:
      • 개인 소득: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최대 7,5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 기준) 
      • 가구 소득: 가구원 전체 합이 중위소득의 250% 이하 

         

        가구원 수 100% 중위소득 250% 중위소득
        1인 가구 2,280,000원 5,700,000원
        2인 가구 3,805,000원 9,512,500원
        3인 가구 4,902,000원 12,255,000원
        4인 가구 5,966,000원 14,915,000원
        5인 가구 6,894,000원 17,235,000원
        6인 가구 7,775,000원 19,437,500원
    3.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아님: 직전 3개년 중 1회 이상 해당자 가입 제한 

    💰 납입·지원액 

      • 지원금 : 월 납입액의 3~6 % 지원 (소득에 따라 차등)
        • 1구간(소득 하위): 매월 납입액 6% 지원
          • 연소득 기준: 총급여 2,400만 원 이하 또는 종합소득 1,600만 원 이하
        • 2구간: 4.6% · 3구간: 3.7% · 4구간: 3.0% 
      •  
    • 비과세: 납입금 및 정부기여금 이자 모두 비과세 적용

    🧾 가입 절차

    1. 자격 사전확인 (정부24/복지로 앱 통해 가능)
    2. 은행 앱 또는 영업점에서 신청 (KB, 신한, 우리 등)
    3.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신청
    4. 서류 확인 및 심사: 행정정보 연계, 약 2주 소요 
    5. 계좌 개설 및 납입 시작 → 익월 자동이체 개시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⏳ 중도해지 및 특별중도해지

    • 중도해지: 정부 기여금 미지급, 이자 과세
    • 3년 경과 중도해지: 정부 기여금의 60% 지급 및 비과세 혜택 유지 
    • 특별중도해지 사유: 결혼, 출산, 생애최초 주택구입, 질병, 퇴직 등 8가지 

    📌 빠른 요약


    항목 내용
    대상 19~34세, 개인소득 ≤7,500만, 가구소득 ≤중위소득 250%
    납입 매월 최대 70만 원 자유납입 (연 840)
    기간 5년 ( 60개월)
    혜택 정부기여금 + 비과세 혜택
    가입 절차 온라인 또는 은행 방문 신청, 심사 후 계좌 개설
    해지 조건 일반 해지 시 혜택 소멸, 조건 충족 시 혜택 유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
  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

    반응형